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3

[Programmers/Java] K번째 수 K번째 수 문제링크: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748 코드import java.util.Arrays;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ay, int[][] commands) { int[] answer = {}; answer = new int[commands.length]; for(int i=0; i 2025. 3. 18.
[Programmers/SQL] 업그레이드 된 아이템 구하기 업그레이드 된 아이템 구하기 문제 링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273711 문제1) 아이템의 희귀도가 'RARE'인 아이템들2)의 모든 다음 업그레이드 아이템순서 생각하기 코드SELECT INFO.ITEM_ID, INFO.ITEM_NAME, INFO.RARITYFROM ITEM_INFO AS INFOJOIN ITEM_TREE AS TREE ON TREE.ITEM_ID = INFO.ITEM_IDWHERE TREE.PARENT_ITEM_ID IN (SELECT II.ITEM_ID FROM ITEM_INFO AS II WHERE I.. 2025. 3. 18.
[CS] 연산자 우선순위 연산자 우선순위 연산자 우선순위 표연산자 우선순위 (높음 → 낮음)우선순위 연산자 설명 결합 방향1()괄호(수식 우선 계산)왼 → 오2++, --단항 연산자 (증가, 감소)오 → 왼3+, - (단항)부호 연산자 (+, -)오 → 왼4*, /, %곱셈, 나눗셈, 나머지왼 → 오5+, - (이항)덧셈, 뺄셈왼 → 오6>비트 이동 연산자왼 → 오7, >=비교 연산자왼 → 오8==, !=동등/비동등 비교 연산자왼 → 오9&비트 AND 연산자왼 → 오10^비트 XOR 연산자왼 → 오11|비트 OR 연산자왼 → 오12&&논리 AND 연산자왼 → 오13||논리 OR 연산자왼 → 오14? :삼항 연산자오 → 왼15=, +=, -=, *=, /=, %=, >=, &=, ^=, |=대입 연산자오 → 왼16,쉼표 연산자왼 .. 2025. 3. 18.
[Java] 변수 Variable 변수자바 변수는 크게 '기본형 변수'와 '참조형 변수'로 나뉘며, 선언 위치에 따라 '지역 변수', '인스턴스 변수', '클래스 변수'로 분류됩니다. 1. 기본형 변수 (Primitive Variables)실제 값을 저장하는 변수입니다.자바에서 미리 정의된 8가지 자료형을 사용합니다.논리형 (boolean): 참(true) 또는 거짓(false) 값을 저장합니다.문자형 (char): 하나의 문자(유니코드)를 저장합니다.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정수 값을 저장하며, 각 자료형은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다릅니다.실수형 (float, double): 실수 값을 저장하며, float은 단정밀도, double은 배정밀도 실수를 저장합니다.public void primitiveTy.. 2025. 3. 18.
[Java] String 비교 시 ==이 아닌 equals()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String 비교 시 ==이 아닌 equals()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Java의 String 메모리 공간과 크기Heap 영역과 String PoolJava에서 String 객체는 Heap 메모리에 저장됩니다.String 리터럴("hello")은 String Pool이라는 특별한 공간에 저장되며, 동일한 값의 String이 있으면 재사용됩니다.new String("hello")는 Heap에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므로, String Pool과 다르게 관리됩니다.메모리 크기Java의 String은 내부적으로 char[] 배열을 사용하며, 각 char는 2바이트(16비트) 크기의 UTF-16을 사용합니다.예를 들어 "Hello"는 5 * 2 = 10바이트를 차지합니다.Java 9부터는 byte[] 기반의 Stri.. 2025. 3. 18.
[DB] DB 접속 정보 DB 접속 정보데이터베이스(DB) 접속에 필요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종류와 접속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필요합니다.1. 호스트 (Host)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설치된 컴퓨터의 주소입니다.IP 주소(예: 192.168.0.1) 또는 도메인 이름(예: example.com)으로 표시됩니다.로컬 컴퓨터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경우 'localhost' 또는 '127.0.0.1'을 사용합니다.2. 포트 (Port)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포트 번호입니다.각 데이터베이스 종류마다 기본 포트 번호가 정해져 있습니다.MySQL: 3306PostgreSQL: 5432Oracle: 1521기본 포트 번호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포트 번호를 사용해야 합니다.3. 데이터베이스.. 2025.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