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접속 정보
데이터베이스(DB) 접속에 필요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종류와 접속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필요합니다.
1. 호스트 (Host)
-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설치된 컴퓨터의 주소입니다.
- IP 주소(예: 192.168.0.1) 또는 도메인 이름(예: example.com)으로 표시됩니다.
- 로컬 컴퓨터에 설치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경우 'localhost' 또는 '127.0.0.1'을 사용합니다.
2. 포트 (Port)
-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포트 번호입니다.
- 각 데이터베이스 종류마다 기본 포트 번호가 정해져 있습니다.
- MySQL: 3306
- PostgreSQL: 5432
- Oracle: 1521
- 기본 포트 번호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포트 번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3. 데이터베이스 이름 (Database Name)
- 접속할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에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특정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해야 합니다.
4. 사용자 이름 (Username)
-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사용자 계정의 이름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생성한 사용자 계정을 사용해야 합니다.
5. 비밀번호 (Password)
-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입니다.
- 안전한 접속을 위해 올바른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6. 드라이버 (Driver)
-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 각 데이터베이스 종류와 프로그래밍 언어에 맞는 드라이버를 사용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Java 애플리케이션에서 MySQL에 접속할 경우 MySQL Connector/J 드라이버를 사용합니다.
7. 접속 URL (Connection URL)
- 위의 정보들을 조합하여 데이터베이스 접속을 위한 URL을 생성합니다.
- 접속 URL 형식은 데이터베이스 종류와 드라이버에 따라 다릅니다.
- MySQL: jdbc:mysql://호스트:포트/데이터베이스이름
- PostgreSQL: jdbc:postgresql://호스트:포트/데이터베이스이름
8. 추가 정보
- SSL/TLS 설정: 보안 접속을 위해 SSL/TLS 설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타임존 설정: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의 타임존이 다른 경우 타임존 설정을 추가해야 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접속에 필요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종류, 접속 환경, 보안 설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로컬 접속, 원격 접속
- 로컬 MySQL 설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자체를 구축하는 것이고, MySQL 드라이버 설치는 애플리케이션이 원격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 로컬 MySQL 설치는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위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고, MySQL 드라이버 설치는 애플리케이션과 원격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 로컬에 MySQL이 설치되어있더라도, 원격 서버에있는 MySQL에 접속하기위해서는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CS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SELECT 절의 처리 순서 (0) | 2025.04.01 |
---|---|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용어 정리 (0) | 2025.03.27 |
[MySQL/Oracle] MySQL과 Oracle 데이터베이스 및 스키마 구조 비교 (0) | 2025.03.12 |
[MySQL] MySQL 데이터베이스 생성, 권한 부여 (0) | 2025.03.10 |
[MySQL] mysql cli syntax highlighter mycli (0) | 2022.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