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Network4 [Network] 포트에 따른 서버 및 서비스 구분 🔍 포트에 따른 서버 및 서비스 구분: 기술적으로 자세한 설명💡 핵심 개념 먼저 짚고 넘어가자:서버(Host): 하나의 물리적 또는 가상 시스템 (예: Ubuntu 머신)포트(Port): 서버 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분하는 논리적 통로 (0~65535번)SSH 데몬(sshd): SSH 접속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 측 백그라운드 서비스포트포워딩: 외부에서 들어오는 포트 요청을 내부의 특정 IP와 포트로 우회시키는 기능🧠 사례별 설명① 같은 서버에서 여러 포트에 SSH 서비스 실행 (직접 설정)# /etc/ssh/sshd_config 내용 예시Port 22Port 2222이 설정은 같은 Ubuntu 서버에서 SSH 서비스를 22번과 2222번 포트 둘 다 수신하도록 설정한 것이다.이 경우, 외부에서 .. 2025. 3. 27. [Network] VirtualBox + Ubuntu NAT 환경 PuTTY로 SSH 접속 & ngrok 외부 터널링 VirtualBox + Ubuntu NAT SSH 접속 & ngrok 외부 터널링 완전 정복이 문서는 VirtualBox에서 Ubuntu 게스트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환경에서 SSH 서버를 설정한 후 PuTTY를 이용해 로컬에서 접속하며, ngrok을 통해 외부 접속까지 구성하는 전체 절차를 설명한다.1. 가상화와 네트워크 개념 이해1.1 VirtualBox란?VirtualBox는 오라클(Oracle)에서 제공하는 오픈 소스 가상화 플랫폼으로,하나의 물리적 컴퓨터(호스트)에 여러 개의 가상 컴퓨터(게스트)를 생성하여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테스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개발 환경 구축, 보안 실습, 운영체제 실험 등에 활용한다.1.2 NAT(Netwo.. 2025. 3. 27. [Network] telnet 또는 nc (netcat)으로 특정 포트 확인 1. Telnet이란?Telnet은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에 원격으로 로그인하거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특정 서버에 연결이 가능한지, 접근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2. Windows에서 Telnet 사용법Windows에서는 기본적으로 Telnet 클라이언트가 비활성화되어 있으므로, 먼저 이를 활성화해야 한다.Telnet 클라이언트 활성화 방법제어판을 연다.Win + R 키를 누른 후 control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프로그램 및 기능을 클릭한다.프로그램 및 기능 또는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클릭한다.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클릭한다.좌측 메뉴에서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선택한다.Telnet 클라이언트를 체크한 후 확인을 클릭한다.이제 명령 프롬프트에.. 2025. 3. 20. [Network] TCP 소켓과 웹소켓 TCP 소켓과 웹소켓: 통신 방식의 차이점 네트워크 통신에서 TCP 소켓과 웹소켓은 중요한 개념입니다. TCP 소켓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방식이며, 웹소켓은 기존 HTTP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TCP 소켓과 웹소켓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각각의 특징과 동작 방식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TCP 소켓이란?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소켓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연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합니다. 소켓 생성 및 연결서버는 특정 포트에서 listen() 상태로 대기합니다.클라이언트는 서버의 IP 주소와 포트를 지정하.. 2025. 2.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