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34 [Network] macOS에서 실행 중인 서버/ngrok 포트 확인 및 종료 방법 정리 🔌 macOS에서 실행 중인 서버/ngrok 포트 확인 및 종료 방법 정리📌 개요로컬에서 실행한 서버(Node.js, Flask, Spring, ngrok 등)가 특정 포트를 점유하고 실행 중일 때:어떤 프로세스가 어떤 포트를 점유하고 있는지 확인서버를 종료하고 해당 포트를 해제포트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이 작업은 개발 중 포트 충돌, 중복 실행, 리소스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필수입니다.✅ 1. 실행 중인 포트 확인🔍 lsof란?**lsof (List Open Files)**는 현재 열려 있는 파일과 이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리눅스/유닉스 시스템에서 포트 사용 중인 프로세스 확인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특정 포트(예: 3000, 5000, 8080)가 사용 중인지 확인#.. 2025. 5. 5. [MySQL] `NOT IN` vs `NOT EXISTS` 비교 및 권장 방식 ✅ NOT IN vs NOT EXISTS 실무 정리: 차이점, 주의사항, 권장 방식SQL에서 "어떤 데이터가 다른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NOT INNOT EXISTS하지만 이 두 구문은 겉보기엔 비슷해도, NULL 처리 방식과 실무 안전성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1. 기본 사용법 비교🔹 NOT INSELECT *FROM membersWHERE id NOT IN (SELECT member_id FROM ads);id 컬럼 값이 ads.member_id 리스트에 없을 경우만 선택비교 대상 컬럼이 반드시 필요함 (컬럼 NOT IN (리스트) 형태)🔹 NOT EXISTSSELECT *FROM members mWHERE NOT EXISTS ( .. 2025. 5. 4. [Docker] Docker 개념 정리 ✅ Docker 개념 정리1. 가상화(Virtualization)와 컨테이너(Containerization) 차이구분가상화 (Virtualization)컨테이너 (Containerization)기술 방식하드웨어 가상화 (Hypervisor 기반)OS 커널 가상화 (Namespace, Cgroups)단위전체 OS를 포함한 가상 머신(VM)애플리케이션 + 의존성만 분리 (프로세스 단위)자원 사용량무겁다 (RAM, CPU 많이 사용)가볍다 (필요한 만큼만 사용)부팅 속도느리다 (OS 부팅 필요)빠르다 (프로세스 수준 실행)대표 기술VMware, VirtualBox, KVMDocker, Podman, containerd✔️ 요약가상화는 OS 전체를 통째로 가상화. (ex. Ubuntu VM 안에 Ubuntu 설.. 2025. 4. 29. [Linux] 로그인 셸 (Login Shell) vs 비로그인 셸 (Non-login Shell) ✅ 로그인 셸 (Login Shell) vs 비로그인 셸 (Non-login Shell)✅ 1. 로그인 셸 (Login Shell)📌 정의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하거나, 셸을 명시적으로 로그인 환경으로 실행했을 때✅ 대표적인 상황:상황예시터미널에서 직접 로그인콘솔 로그인 (tty)ssh 접속ssh user@hostsu - 사용자로그인 셸로 전환bash --login명시적 로그인 셸 실행✅ 실행되는 설정 파일→ /etc/profile→ ~/.bash_profile (우선순위)→ ~/.bash_login→ ~/.profile순차적으로 읽으며, 첫 번째로 존재하는 파일만 실행(보통 .bash_profile → 없으면 .profile)🔹 보통 이 안에서 ~/.bashrc를 수동으로 호출해주는 것이 일반적입니.. 2025. 4. 17. [Linux] 리눅스 로그인 환경 설정 파일 구조 정리 ✅ 리눅스 로그인 환경 구성 파일 구조 정리🧭 시스템 vs 사용자 환경 설정 파일구분파일설명적용 범위시스템 전체 설정/etc/profile로그인 시 모든 사용자에게 공통 적용전역 (root 포함)사용자 설정 ①~/.profile로그인 셸에서 사용자별 설정각 사용자 (sh 계열 로그인용)사용자 설정 ②~/.bashrc비로그인 셸 또는 터미널 열릴 때마다 적용됨bash 전용✅ 파일별 작동 시점상황불리는 파일ssh 로그인 / su - 사용자 / GUI 로그인/etc/profile → ~/.profile (또는 ~/.bash_profile)터미널 창만 새로 열었을 때 (GUI에서 터미널 실행)~/.bashrcsu 사용자 (하이픈 없음)환경 설정 파일 안 불림 (현재 셸 유지)즉, 로그인 셸: ~/.profil.. 2025. 4. 17. [Linux] Crontab 개념 정리 ✅ Crontab을 활용한 주기적 작업 자동화 실습 정리🧠 크론탭(Crontab)이란?Crontab (cron table) 은 리눅스에서 특정 시간마다 명령어를 자동 실행하기 위한 예약 시스템입니다.우리가 자주 쓰는 정기적인 작업(배치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예: 매일 새벽 3시, 교통카드사의 결제 데이터를 서버에서 추출해서 카드사로 전송 → 이런 걸 배치(batch) 작업이라고 하며, 보통 크론탭이 이를 자동 실행해줍니다. ✅ 실습 흐름 정리① crontab -e 입력crontab -eno crontab for 사용자명 – using an empty one → 현재 등록된 크론탭이 없음에디터를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뜸 (한 번만 뜨고, 이후엔 생략됨)🔹 편집기 선택 화면Selec.. 2025. 4. 17.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