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irtual Box2

[Network] 포트에 따른 서버 및 서비스 구분 🔍 포트에 따른 서버 및 서비스 구분: 기술적으로 자세한 설명💡 핵심 개념 먼저 짚고 넘어가자:서버(Host): 하나의 물리적 또는 가상 시스템 (예: Ubuntu 머신)포트(Port): 서버 내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분하는 논리적 통로 (0~65535번)SSH 데몬(sshd): SSH 접속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 측 백그라운드 서비스포트포워딩: 외부에서 들어오는 포트 요청을 내부의 특정 IP와 포트로 우회시키는 기능🧠 사례별 설명① 같은 서버에서 여러 포트에 SSH 서비스 실행 (직접 설정)# /etc/ssh/sshd_config 내용 예시Port 22Port 2222이 설정은 같은 Ubuntu 서버에서 SSH 서비스를 22번과 2222번 포트 둘 다 수신하도록 설정한 것이다.이 경우, 외부에서 .. 2025. 3. 27.
[Network] VirtualBox + Ubuntu NAT 환경 PuTTY로 SSH 접속 & ngrok 외부 터널링 VirtualBox + Ubuntu NAT SSH 접속 & ngrok 외부 터널링 완전 정복이 문서는 VirtualBox에서 Ubuntu 게스트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환경에서 SSH 서버를 설정한 후 PuTTY를 이용해 로컬에서 접속하며, ngrok을 통해 외부 접속까지 구성하는 전체 절차를 설명한다.1. 가상화와 네트워크 개념 이해1.1 VirtualBox란?VirtualBox는 오라클(Oracle)에서 제공하는 오픈 소스 가상화 플랫폼으로,하나의 물리적 컴퓨터(호스트)에 여러 개의 가상 컴퓨터(게스트)를 생성하여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테스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개발 환경 구축, 보안 실습, 운영체제 실험 등에 활용한다.1.2 NAT(Netwo.. 2025.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