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elnet이란?
Telnet은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에 원격으로 로그인하거나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특정 서버에 연결이 가능한지, 접근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2. Windows에서 Telnet 사용법
Windows에서는 기본적으로 Telnet 클라이언트가 비활성화되어 있으므로, 먼저 이를 활성화해야 한다.
Telnet 클라이언트 활성화 방법
- 제어판을 연다.
- Win + R 키를 누른 후 control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 프로그램 및 기능을 클릭한다.
- 프로그램 및 기능 또는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클릭한다.
-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클릭한다.
- 좌측 메뉴에서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선택한다.
- Telnet 클라이언트를 체크한 후 확인을 클릭한다.
이제 명령 프롬프트에서 Telnet을 사용할 수 있다.
Telnet을 이용한 포트 확인 방법
- 명령 프롬프트를 연다.
- Win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연 후, cmd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 Telnet 명령어를 입력한다.예를 들어, 특정 서버의 80번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telnet example.com 80
- telnet [서버 주소] [포트 번호]
- 결과를 확인한다.
- 연결 성공 시: 커서가 깜빡이는 빈 화면이 나타나면 해당 포트가 열려 있다는 의미이다.
- 연결 실패 시: 연결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해당 포트가 닫혀 있거나 방화벽 등에 의해 차단된 것이다.
3. Mac에서 Telnet 또는 Netcat 사용법
Mac에서는 기본적으로 Telnet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Homebrew를 통해 설치하거나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Netcat(nc)을 사용할 수 있다.
Telnet 설치 및 사용 방법
- Homebrew를 설치한다.
-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 Telnet을 설치한다.
- brew install telnet
- Telnet 명령어를 사용하여 포트를 확인한다.예를 들어, 특정 웹 서버의 80번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telnet example.com 80
- telnet [서버 주소] [포트 번호]
Netcat(nc) 사용 방법
Netcat은 Mac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TCP 및 UDP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한다.
- Netcat 명령어를 사용하여 포트를 확인한다.예를 들어, 특정 웹 서버의 80번 포트를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nc -zv example.com 80
- nc -zv [서버 주소] [포트 번호]
- 결과를 확인한다.
- 연결 성공 시: "succeeded" 메시지가 표시된다.
- 연결 실패 시: "failed" 또는 "Connection refused" 메시지가 표시된다.
4. 주의사항
- 보안 문제: Telnet은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 단순한 포트 확인 용도로만 사용하고, 원격 접속에는 SSH와 같은 보안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방화벽 설정: 포트가 열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방화벽 설정이나 서버의 접근 제어 목록(ACL)을 확인해야 한다.
위와 같이 Telnet 또는 Netcat을 활용하여 특정 포트의 접근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참고 :
https://extbrain.tistory.com/103
https://jibinary.tistory.com/127
https://still-alive-developer.tistory.com/31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포트에 따른 서버 및 서비스 구분 (0) | 2025.03.27 |
---|---|
[Network] VirtualBox + Ubuntu NAT 환경 PuTTY로 SSH 접속 & ngrok 외부 터널링 (0) | 2025.03.27 |
[Network] TCP 소켓과 웹소켓 (1) | 2025.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