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4 [Linux] 로그인 셸 (Login Shell) vs 비로그인 셸 (Non-login Shell) ✅ 로그인 셸 (Login Shell) vs 비로그인 셸 (Non-login Shell)✅ 1. 로그인 셸 (Login Shell)📌 정의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하거나, 셸을 명시적으로 로그인 환경으로 실행했을 때✅ 대표적인 상황:상황예시터미널에서 직접 로그인콘솔 로그인 (tty)ssh 접속ssh user@hostsu - 사용자로그인 셸로 전환bash --login명시적 로그인 셸 실행✅ 실행되는 설정 파일→ /etc/profile→ ~/.bash_profile (우선순위)→ ~/.bash_login→ ~/.profile순차적으로 읽으며, 첫 번째로 존재하는 파일만 실행(보통 .bash_profile → 없으면 .profile)🔹 보통 이 안에서 ~/.bashrc를 수동으로 호출해주는 것이 일반적입니.. 2025. 4. 17. [Linux] 리눅스 로그인 환경 설정 파일 구조 정리 ✅ 리눅스 로그인 환경 구성 파일 구조 정리🧭 시스템 vs 사용자 환경 설정 파일구분파일설명적용 범위시스템 전체 설정/etc/profile로그인 시 모든 사용자에게 공통 적용전역 (root 포함)사용자 설정 ①~/.profile로그인 셸에서 사용자별 설정각 사용자 (sh 계열 로그인용)사용자 설정 ②~/.bashrc비로그인 셸 또는 터미널 열릴 때마다 적용됨bash 전용✅ 파일별 작동 시점상황불리는 파일ssh 로그인 / su - 사용자 / GUI 로그인/etc/profile → ~/.profile (또는 ~/.bash_profile)터미널 창만 새로 열었을 때 (GUI에서 터미널 실행)~/.bashrcsu 사용자 (하이픈 없음)환경 설정 파일 안 불림 (현재 셸 유지)즉, 로그인 셸: ~/.profil.. 2025. 4. 17. [Linux] 쉘 스크립트 실행과 프로세스 관리 쉘 스크립트 실행과 프로세스 관리쉘 스크립트 실행 방법 (sh, ./파일.sh)프로세스 개념과 PIDforeground / background 실행 방식백그라운드 작업 관리 명령어 (jobs, fg, bg, kill)데몬과 일반 스크립트의 차이✅ 쉘 스크립트와 실행📌 .sh: 쉘 스크립트 파일확장자 .sh는 쉘(Shell)에서 실행될 수 있는 스크립트 파일윈도우에서 .bat(배치파일)과 유사한 역할기본적으로 bash, sh, zsh 등의 셸에서 실행됨✅ 쉘 스크립트 실행 방법실행 방식설명예시sh 파일명.sh현재 셸에서 sh 명령어로 실행sh ex01.sh./파일명.sh실행 권한 부여 후 직접 실행chmod +x ex01.sh → ./ex01.sh🔸 sh ex01.sh는 "sh 셸에서 파일을 해석해 실.. 2025. 4. 17. [Linux] 리눅스 명령어 🔧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pwd의미: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작업 디렉토리 출력)예시:$ pwd/home/student/projects설명: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절대 경로를 출력함.윈도우의 cd만으로 현재 위치가 표시되는 것과 유사.mkdir [옵션] 디렉토리명의미: make directory (디렉토리 생성)옵션-p: 부모 디렉토리가 없을 경우 자동 생성 (parent)예시mkdir myFoldermkdir -p School/{Science,Math,History}/{Assignments,Notes}설명: 새 디렉토리를 생성. -p는 중첩된 하위 디렉토리까지 한 번에 생성.rmdir [디렉토리명]의미: remove directory예시: rmdir ./test설명: .. 2025. 3.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