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습니다. 질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아요:
🔹 EC2 생성 시에는 ssh-keygen -t rsa 명령어가 필요 없는가?
🔹 사용자 계정을 직접 생성할 경우엔 이 명령어를 써야 하는가?
🔹 그렇다면 이 명령어의 정확한 의미와 전체 SSH 키 구조는 어떻게 되는가?
SSH 접속용 키 수동 생성
✅ 1. ssh-keygen -t rsa
는 언제 필요할까?
상황 | 필요 여부 | 설명 |
---|---|---|
🔹 AWS EC2 인스턴스 생성 시 콘솔에서 키 페어 생성 | ❌ 필요 없음 | AWS가 자동으로 키 페어를 생성하여 다운로드하게 함 |
🔹 내 로컬 PC에서 직접 키를 만들어서 공개키를 EC2에 등록할 때 | ✅ 필요함 | 공개키는 EC2 서버에, 개인키는 로컬에 보관 |
🔹 리눅스에서 새 사용자 계정 생성 후 SSH 접속 허용할 때 | ✅ 필요함 | 새 사용자용 키를 직접 생성하고 authorized_keys 등록 |
즉, EC2 초기 생성은 AWS가 대신 해주기 때문에 필요 없지만,
사용자 계정을 새로 만들거나, AWS가 아닌 서버에서는 필수입니다.
✅ 2. ssh-keygen -t rsa
명령어의 의미
ssh-keygen -t rsa -b 2048 -C "your_email@example.com"
옵션 | 의미 |
---|---|
ssh-keygen |
SSH 키를 생성하는 명령어 |
-t rsa |
키 유형: RSA 알고리즘 사용 |
-b 2048 |
키 길이: 2048비트 (기본값, 보통 충분함) |
-C |
키 주석 (보통 이메일 등 식별용 설명 추가) |
🛠️ 실행 시 결과:
~/.ssh/id_rsa
(개인키)~/.ssh/id_rsa.pub
(공개키)
✅ 3. SSH 키 인증 흐름 구조도 (공개키 / 개인키)
[로컬 PC]
┌────────────────────────────┐
│ id_rsa (개인키) │
│ id_rsa.pub (공개키) │
└────────────────────────────┘
│
▼
[원격 서버: EC2]
┌────────────────────────────┐
│ ~/.ssh/authorized_keys │ ← 공개키 저장
└────────────────────────────┘
🔐 접속 시 동작:
- 로컬에서 개인키로 전자서명 생성
- 서버가
authorized_keys
에 등록된 공개키로 검증 - 일치하면 접속 허용
✅ 4. 사용자 계정 추가 시 SSH 설정 흐름
예시: newuser
계정에 SSH 접속 허용
# 1. 사용자 생성
sudo adduser newuser
# 2. 사용자로 전환
su - newuser
# 3. SSH 디렉토리 생성 및 권한 설정
mkdir -p ~/.ssh
chmod 700 ~/.ssh
# 4. 공개키 등록
echo "ssh-rsa AAAAB3..." > ~/.ssh/authorized_keys
chmod 600 ~/.ssh/authorized_keys
- 공개키는 직접 생성한
id_rsa.pub
의 내용 - 개인키(
id_rsa
)는 로컬 PC에만 보관
✅ 5. 키 생성과 사용 정리
상황 | 키 생성 필요? | 명령어 |
---|---|---|
AWS 콘솔에서 EC2 생성 | ❌ | AWS가 자동 생성 |
로컬에서 SSH 접속용 키 수동 생성 | ✅ | ssh-keygen -t rsa |
다른 사용자 추가하여 접속 허용 | ✅ | 공개키 수동 등록 필요 |
GitHub 등 외부 서비스에서 SSH 인증 사용 | ✅ | ssh-keygen 후 공개키 등록 |
✅ 6. SSH 키와 비밀번호 인증 비교
항목 | 비밀번호 로그인 | SSH 키 로그인 |
---|---|---|
보안 | 낮음 (사전 대입 공격 가능) | 높음 (비대칭키 암호화) |
자동화 | 어려움 | 쉬움 |
분실 시 복구 | 가능 (비밀번호 재설정) | 불가능 (개인키 없으면 끝) |
AWS 기본 방식 | ❌ 비활성화 | ✅ 활성화됨 |
✅ 마무리 요약
ssh-keygen -t rsa
는 로컬에서 SSH 키를 수동 생성할 때 사용.- EC2 콘솔에서 키 페어 생성 시에는 자동으로 키가 생성되므로 필요 없음.
-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EC2에 추가하거나, 직접 만든 서버에서 SSH 접속을 허용하려면 반드시 키를 생성하고 공개키를 등록해야 함.
- SSH 키 인증은 공개키를 서버에, 개인키를 본인만 보관하는 구조로 매우 안전함.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인스턴스에 SSH로 접속 시 셸은 bash인가요? (0) | 2025.04.17 |
---|---|
[AWS] 키 페어 생성, 구조, Mac/Windows 접속법 (0) | 2025.04.17 |
[AWS] Amazon EC2 개요: Elastic Compute Cloud (0) | 2025.04.17 |
[RDS] SpringBoot 와 RDS 연동하기 (0) | 2022.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