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의 두 주요 테스트넷인 Sepolia와 Holesky는 각기 다른 목적과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Chainlink의 공식 블로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두 테스트넷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 Sepolia 테스트넷
개요
- 출시 시점: 2021년 10월
- 합의 메커니즘: 초기에는 작업 증명(PoW) 기반으로 시작했으며, 이후 지분 증명(PoS)으로 전환되었습니다.
- 주요 목적: 스마트 계약 및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개발자들을 위한 테스트 환경 제공
- 특징:
- 빠른 동기화와 제한된 검증자 세트를 통해 효율적인 테스트 환경 제공
- 무제한의 Sepolia ETH(sepETH) 공급으로 Goerli에서 발생했던 ETH 부족 문제 해결
- 개발자들이 메인넷 배포 전에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할 수 있는 안정적인 환경 제공
🧪 Holesky 테스트넷
개요
- 출시 시점: 2023년 9월
- 합의 메커니즘: 지분 증명(PoS) 기반
- 주요 목적: 검증자와 스테이킹 관련 테스트 및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사전 검증
- 특징:
- 약 16억 개의 Holesky ETH(holETH) 공급으로 이전 테스트넷의 ETH 부족 문제 해결
- 150만 개 이상의 검증자가 활동 중으로, 이는 메인넷과 Goerli를 합친 것보다 많은 수치
- 대규모 검증자 환경을 통해 스케일링 이슈를 사전에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테스트 환경 제공
🔍 Sepolia와 Holesky 비교
항목 |
Sepolia | Holesky |
출시 시점 | 2021년 10월 | 2023년 9월 |
합의 메커니즘 | 지분 증명(PoS) | 지분 증명(PoS) |
주요 목적 | 스마트 계약 및 DApp 테스트 | 검증자 및 스테이킹 테스트,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
ETH 공급량 | 무제한의 sepETH | 약 16억 개의 holETH |
검증자 수 | 제한된 검증자 세트 | 150만 개 이상의 검증자 |
주요 사용자 | DApp 개발자 | 검증자, 프로토콜 개발자 |
각 테스트넷은 이더리움 생태계 내에서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며, 개발자와 검증자들이 메인넷 배포 전에 다양한 시나리오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Sepolia는 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에게 적합하며, Holesky는 검증자와 프로토콜 개발자들에게 더 적합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참고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ockchain] DApp 개발을 위한 구성 요소 (0) | 2025.04.17 |
---|---|
[Ethereum] Remix이전에 배포한 스마트컨트랙트를 다시 불러오는 방법 (0) | 2025.04.11 |
[Blockchain] Reorg (0) | 2025.03.18 |
[Bitcoin] 비트코인 주소 유형 비교(Bitcoin address types compared) (0) | 2025.03.04 |
Layer 1 (and 2) Transaction Finality (1) | 2024.12.04 |
댓글